-VVVF전기동차 제동방식은 디지털의 전기지령에 의해 작동
-회생제동과 공기제동을 병용하는 일괄교차 연산식의 HRDA 전기공기방식 채택
-제동력 부족, 제동 불완해 검지 및 원격제어 기능을 가지고있다.
TC차, T차, T1차 | 디크스제동에 의한 공기제동장치 |
M차 , M'차 | 회생제동장치와 제륜자 제동방식에 의한 공기제동장치 |
1. 상용제동은 반드시 유니트 단위로제어된다 #1. 차량편성은 반드시 편성차수의 50%구동차, 50% 부수차로 편성
2. 상용제동지령시는 공기압력이 작용하지 않는 순수한 전기지령식 제동장치이다.
3. 상용제동시 구동차의 제동제어유니트(E.O.D)가 부수차의 제동까지 제어하는 일괄교차 제어식이다.
#2. 제동제어유니트(E.O.D) M차에만 있다. ECU는 10개
4. 회생제동작용으로 최대의 전기에너지를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5. 감속도의 급격한 변화를 규제하여 승차감을 향상시켰다. (Jerk 제어 0.8)
6. 상용제동 및 비상제동작용 불능시 보안제동을 사용할 수 있다.
7. 비상제동 작용시에는 회생제동은 체결되지않는다. #3. 공기제동으로만 체결, 비상제동시 공기제동만가능.
8. 스프링작용에 의하는 주차제동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9. 활주방지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차륜활주 발생시 차륜과 레일의 마모를 줄이고 제동거리를 단축시킨다.
10. 공주시간이 짧다.(비상제동시 약1.3초, 상용제동은 1.5초)
11. 차량고장 등으로 구원열차 연결하여 운전시 고장열차의 운전실에서도 제동취급이 가능하며, SELD형 제동장치 설치차량, 4호선용 전기동차, 디젤기관차 와의 합병운전이 가능하도록 구원제동장치 B.T.U가 설치되어있다.
12. 차량간에는 주공기통관 1개만 인통된다. (제동관이나 직통관은 없다)
HRDA 제동제어기 위치 (10개)
1. 완해위치 (1)
2. 1~7스탭 상용제동 위치 (7)
3. 비상제동 위치 (1)
4. 핸들취거위치 (1)
제동작용장치 B.O.U
-차체하부 설치
-E.O.D는 구동차용 차량에만 설치
제동제어유니트(EOD) | 마이크로 프로세스에 의한 제동제어를 담당한다. | 무게의 값을 주제어장치랑 같이 계산함 | - EOD는 MCU와 회생제동유효지령, 응하중지령을 기준으로 연산을 통해 M차와 T차의 일괄교차제어 한다. - EOD는 제동전용 인버터를 사용하여 차량의다른 전원과는 완전히 절연되어 있어, 다른 선과의 혼접에 의한 오동작 방지하고, 가선 전원 차단되더라고 제동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다. |
|
강제완해전자밸브 (CRV) |
제동불완해 검지 시 강제완해 스위치를 취급하면 PEC지령에 의하여 여자한다. | CPRS에 의해 T절환변의 배기밸브를 동작시켜 제동통에 남아있는 압력공기를 강제완해하는 작용을한다. | ||
Y절환밸브(TV) | 강제완해전자변이 여자될 때 BC공기를 배기기하여 제동을 강제로 완해시킨다. | 평소에 통로역할을함. 제동불완해 검지시 CPRS누르면 강제완해전자변여자 되어 공배 배기 |
- 평소에는 통로역할 - 제동불완해시 배기 CPRS취급 시 배기밸브를 열어 잔류 압력공기를 대기로 배출하여 제동통 공기를 강제완해 하는 작용을 한다. |
|
공전변환기(PEC) | 중계변 출구의 공기압력(BC)을 전류의 양으로 전환시키고 모니터 제어기기에 전송하며, 제동력부족과 제동 불완해를 감지하고 또한 강제완해용 전자변(CRV)을 제어한다. | TGIS 를 통하여 공기압력 확인. 1. 모니터에 제동압력현시 2. 모니터에 제동력부족 3. 모니터에 제동불완해 4. CRV제어 |
1. 제동불완해시지 - 비상제동 체결 안됐을 때 - 상용제동 체결 안됐을 때 - ATC제동 체결 안됐을 때 -보안제동 체결 안됐을 때 #. 제동 완해 후 5초 경과해서 제동통 압력 설정치 초과시 제동불완해 발생으로 인지. 2. 강제완해 CPRS취급 → CRV여자 → 강제완해 중임을 표시 3. 제동력부족검지 제동력부족 감지지령선(Isb) 여자 시 비상제동 동작 - 상용제동 7단 - ATC제동 체결(ATCSBR여자) 위 조건에서 제동력부족 감지 후 3.5초동안 제동통압력 기준치 미달 시 비상제동 4. 제동통압력 신호의 전송 |
|
압력조정밸브(PRV) | 출입문작용 장치와 같은 제어장치용 제어공기통(CR)에 일정한 압력공기를 축적시킨다. | |||
D복식체크밸브(DCHV) | 상용제동 작용공기와 비상제동 작용공기의 통로를 결정지어준다. | |||
전공변환밸브 (EPV) |
EOD에서 지령하는 전류의 세기에 비례하여 작용공기를 생성하여 공기제동압력을 생성한다 | EPV → D복식체크벨브 → 중계밸브 → 공급공기통(SR)→ Y절환밸브 → 제동통 → 디크스, 답면 | 전기지령값 2차측압력 300 1.56±0.15 500 4.52±0.15 700 7.48±0.15 |
|
중계밸브(RV) | 제동통에 작용하는 공기(BC)를 생성한다 | 작용공기(EPV) EOD에서 전기지령받아 공기 넣음 | 제동공기를 만들어준다. |
응하중밸브(VLV) | 비상제동작용 시 응하중 작용을 한다. | 승객의 하중에 따라 변화하는 공기스프링압력을 감지하여 공급공기통으로 부터 공급받은 공기압력을 그 때의 차량중량에 따라 증감시켜 비상제동 전자밸브에 항상 대기상태로 공급한다. EBV 소자 시 압력공기 공급한다. |
|
비상제동 전자밸브 (EBV) |
소자 시 비상제동 작용공기를 생성한다. = 소자시 비상제동 작동 |
정상: EBV 항상 여자 EBC소자시 응하중밸브(VLV) → D복식체크벨브 → 중계밸브 → 제동통 → 4.5 (km/h/s)감속도 제동력 |
전원이 차단되면 공기를 공급하는 OFF형 전자밸브이다. 차단 시 응하중밸브에서 공급받은 압력공기를 D형복식역지변을 통하여 중계변으로 압력공기를 공급한다. |
활주방지 제어장치 (Anti Skid) :
- 차륜의 활주나 공전을 방지하기 위한장치
- 설정된 한계치 초과시 대차의 압력제어변을 제어하여 제동에 작용하고있는 제동통공기를 배기 시킨다.
상용제동
-상용제동 체결시 ELBR계전기 여자되어 11선 차단되어 동력운전 불가.
-상용제동시 회생제동이 우선 적용된다. 회생제동력이 제동지령력보다 부족 시 부족분을 부수차의 공기제동으로 보충하고, 회생제동력 감소시 구동차의 공기제동 작용
#1. 상용제동 취급 후 열차속도가 감속되어 회생제동이 무효화 되는 열차속도는 5 (km/h)
#2. ELBR은 상용제동 취급 시 동력운전 차단하는 계전기
비상제동
- 제동제어기에 의한 지령으로 작용시킬 수 있어야 할 뿐 아니라,
비상제동은 ATC비상지령, ATS비상지령, 열차분리, 주공기 압력저하(MRPS 동작) , 비상제동 스위치 (EBS 1.2),
취급 기관사 운전경계장치(DSD) 동작, 구원운전조작스위치(RSOS)의 오 조작으로 체결 된다.
회생제동 불능 원인
- CN2 차단시 10선과 TCU와의 연결이 끊기므로 해당차량 회생제동 불가능
E.O.D 제동제어장치
-구동차용(MM')용 제동작용장치함 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두 개의 차 (구동차 1량 + 부수차1량)를 한 개의 제동 유니트를 구성하여 제동을 제어하며 구동차에는 주변환기의 제어회로 유니트와같이 회생제동을 제어한다.
E.O.D 제동제어장치 | ||
E.O.D 제동제어 장치 |
응하중기능 | 1. 공전변환회로(2개의 공기스프링압력)에 의한 2개의 하중감지신호를 평균하여 차량중량과 제동지령의 합을 연산하여 혼합된 연합지령을 주제어장치(회생제동제어회로)와 공기제동 작용장치에 전송한다. 2. 공기스프링 파손 및 공전변환회로 출력이 공차의 신호보다 적을때는 적어도 소요 공기 제동력이 공차의 80%에 상당하는 제동력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함 3. 공전변환회로의 출력이 만차신호보다 많을 때도 만차신호의 120%이하에 상당하는 제동력만 생성 4. 주제어장치(M.C.U)의 역행제어회로에 보내어 하중 변동에도 거의 일정한 가속력을 얻을 수 있도록 제어 |
제동패턴발생 | 구동차1량+부수차1량을 기본으로 27, 28, 29선을 통하여 지령받은 제동제어기 단수에 해당하는 제동력과 응하중패턴 신호에 의하여 제동패턴 신호를 발생한다. | |
저크제어 | 크기의 변화를 부드럽게 하여 승객의 승차감을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회생제동의 저크제어는 주제어장치에 의해서 이루어짐 (0.8 m/s³) 3제곱임. 2제곱X |
|
일괄교차제어 | -회생제동력 > 제동패턴 : 모두 회생제동력 사용 -회생제동력 < 제동패턴 : 부족분을 공기제동사용 (T차가 TC차에 부과함) |
|
히스테리시스보정 | 전공변환변(EPV)과 중계변(RV)에 의해 생성되는 BC압력의 히스테리스 보정하는 역할 |
|
인쇼트기능 | - 회생제동이 끝날때쯤 미리공기를넣어서 답면 또는 디스크를 잡는역할 - 공기제동체결 지연방지 및 충격을 해소시키는 작용을 한다. |
공기압축기조압기
압력 : 8~9 Kg/cm²